탄소 중립 시대, 한국 기업과 정부는 무엇을 준비해야 되는가 (박한구 명예회장/한국인더스트리4.0)

 

인터뷰를 통해서 전문가의 관점을 쉬우면서도 구체적으로 끌어내는 고우성의 잇(IT)터뷰입니다.
며칠 전 유럽연합(EU)이 철강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시행을 확정하였습니다.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유럽연합의 탄소세 부과에 우리나라 기업과 정부가 어떻게 대처하면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을까요? 얼마 전까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을 역임했던 현 한국인더스트리4.0 협회 박한구 명예회장의 관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박한구 회장이 최근에 칼럼이나 강연에서 ‘새로운 관점의 공급망 밸류체인’을 강조하곤 해서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 궁금했었는데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 그 궁금증이 완전히 해소되었습니다.

 

진행자 : 고우성 PD / 토크아이티 (wsko@talkit.tv, https://talkit.tv/)
게스트 : 박한구 명예회장 / 한국인더스트리4.0, 전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단장, ‘일의 미래’ 저자

 

1. 탄소 발생 실측을 위한 공급망 가치사슬 플랫폼

박한구 : 지금까지는 스마트 제조 혁신을 중심으로 어느 한 기업이 스마트공장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를 추진했다면, 앞으로는 거기에 서비스를 더해질 것입니다. 즉, 다른 기업과 우리 기업 간 운송, 창고 운전자가 오면서 밥을 먹거나 여관에서 잠도 자는 등의 서비스가 같이 융합되어야 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는 탄소 Net-zero 운송에 대한 논의도 함께 할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기업과 우리 기업 간 최적의 경로를 찾을 수 있을까에 대한 논의를 말합니다. 탄소 배출량을 가장 적게 배출하면서 짧은 시간에 운송하는 부분도 다 서비스업인데 제조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규제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거죠.
저는 요즘 그것을 ‘플랫폼-X’라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EU나 다른 각 나라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X를 만들어서 수출의 중심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플랫폼-X같은 공동 활용 플랫폼을 만들 경우, 대기업은 큰 비용에 대한 부담이 가능하니 설치하면 될 것입니다. 전문 인력도 있고 자금도 있으니까 플랫폼-X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중견, 중소기업으로 갈수록 하기가 어렵습니다. 기업은 출시 뒤 퀄리티를 높이고 비용을 낮추고 운송 시간을 줄이는 게 생명인데, 탄소를 배출하기 위해 센서를 달고 측정하고 컴퓨터 갖다 놓고 소프트웨어 개발하고 하는 것은 모두 비용이거든요. 그래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여 제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그 부산물로 탄소 배출량까지 개선할 수 있는 공동의 플랫폼을 대기업과 정부가 같이 개발한 후 중소, 중견기업들에는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나눠주자는 것입니다.
회사 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스마트공장 구축 시 추가적으로 설치하면 되고 QCD(Quality, Cost, Delivery)제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부산물로 탄소규제까지 대행하는 정책으로 가야 하는데, 그런 ‘플랫폼을 우리나라가 빨리 개발해서 안착시켜야 해외로 수출할 수 있다’ 저는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고우성 : 지금까지는 제조업이 경쟁할 때 가성비만 고려했잖아요. EU라는 그런 커다란 시장이 이제 탄소 배출 관련된 것을 관세처럼, 그것도 대단히 큰 비중으로 부과하니까 이제 우리가 공급망책에서 가격 관점으로만 효율성을 추구하는 데서 벗어나서 이제 탄소 관점도 공급망에 다 집어넣어서 해야 한다는 거죠. 그것을 중소기업이 하기 힘드니까 플랫폼을 만들자는 거네요. 프로세스를 말입니다. 최근 회장님께서 가치사슬을 주장하시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거네요.
박한구 : 그렇죠.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순환 경제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독일의 메르켈 전임 총리가 추진했던 독일의 제조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디지털 플랫폼인 Manufacturing-X를 보면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독일 메르켈 총리의 디지털 리더십, 데이터 주권, 플랫폼 주도권

박한구 : Manufacturing-X라는 게 왜 태어났을까요? 유럽이 잘 살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지금 소프트웨어 시장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이 휘어잡고 있으니 그것을 유럽이 따라 갈 수는 없습니다. 그러면 서로 다른 플랫폼 간의 데이터를 어떻게 상호 운용성 있게 공유할 것이냐, 그리고 ‘데이터의 주권’이라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이건 내 데이터야. 내 데이터를 당신의 아마존에 올려놓았지만 그 데이터의 소유권은 나에게 있기 때문에 내가 모든 것을 컨트롤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어. 소유자가 아닌 다른 기업이 컨트롤해서는 절대 안 돼.’
이런 법적 제재를 만드는 거거든요. 그것이 GAIA-X(가이아-X)입니다. GAIA-X를 만들어 놓고 서로 다른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 스페이스’라는 프로토콜을 만들었습니다.
‘스페이스’라는 말은 우주에 각각 별들과 지구가 있듯이 ‘데이터도 각 회사, 각 기업, 각 나라가 가지고 있어라. 그러면서 필요할 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연결해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자’는 것입니다.
고우성 : 보안을 철저히 하고요?
박한구 : 보안은 철저히 하고요. 그게 기본이죠. 그러다 보니까 이제 훨씬 더 사람들이 접근하기가 쉽습니다. 그동안에는 내 데이터를 다 줘야 했는데, 줄 필요 없습니다. 내 서버에 저장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놓은 후, 자동차 분야에 Catena-X*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런데 중소기업들이 이것을 적용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Catena-X를 만들면서 Manufacturing-X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중소기업들에 무료로 제공해 주고 사용료만 받는 구독 경제로 가자.’
이게 바로 독일의 Manufacturing-X입니다.
*Catena-X(Catena-X Automotive Network) – ‘자동차 산업에서 기업 간 정보 및 데이터 공유와 관련해 개방성과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고우성 : 그럼 Manufacturing-X는 중소기업을 위한 겁니까? Manufacturing-X의 취지는 무엇입니까?
박한구 : 가치사슬을 위한 플랫폼인데요. 정부가 이렇게 제안합니다.
‘대기업은 스스로 잘하므로 터치하기가 어려우니까 대기업들이 참여해서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되, 거기에서 나온 산출물은 중소기업들에는 무료로 주자.
그 대신 정부가 자금을 지원할게. 대기업에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Manufacturing-X 이니셔티브를 지원할게. 거기서 그것이 만들어지고 나면 중소기업들에 경제적으로 배포해라.’
이런 정책입니다. 그 Manufacturing-X 즉,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가진 IaaS나 PaaS는 못 만들지만, 탄소 Net-zero에 필요한 SaaS 서비스를 만들어서 중소기업들에 경제적으로 배포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정책, 그러면서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이 Catena-X, Manufacturing-X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고우성 : 클라우드 인프라는 미국 것을 쓰더라도 그 유럽만의 데이터 주권을 확실하게 유지한 상태라는 것. 그것이 key네요.
박한구 : 그렇죠.

 

앞서 언급된 독일의 Manufacturing-X와 같은 어프로치를 우리나라에서 어떤 분야에 적용하면 가장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박한구 회장은 가전과 조선 산업을 제일 먼저 뽑았습니다.

 

3. 한국이 리드하는 순환 경제 밸류체인 플랫폼

박한구 : 미국은 IRA(Inflation Reduction Act), CHIPS(CHIPS and Science)라고 해서 반도체, 바이오, 사이언스, 배터리에 대한 가치사슬권을 잡겠다고 만들어놓고, 독일은 자동차 분야에 대해 Manufacturing-X를 하겠다고 합니다.
과연 우리나라가 잘하는 건 뭘까요? 저는 딱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가전, 백색 가전입니다. 삼성전자나 LG전자는 가전제품에 대한 세계 시장의 선두권에 자리 잡고 있기 이 가치사슬을 어떻게 휘어잡느냐가 중요합니다. 그것을 저는 이제 일명 ‘White Goods-X’라고 합니다. White Goods는 백색 가전을 뜻하는데요. ‘White Goods-X’ 이것을 좋은 말로 다시 만들어야 하겠지만, 개념상으로 White Goods-X에 대한 가치사슬망을 전 세계적으로 우리가 주도해서 만들어가자는 것입니다.
고우성 : 데이터 표준화를?
박한구 : 네, 데이터 표준화를 만들고 플랫폼도 만들어서 우리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훌륭한 IT 인력들이 많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유럽에서 Cartena-X가 마이크로소프트사나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위에 만들듯이, 우리도 ‘White Goods-X’를 그런 글로벌 서비스 프로바이더 위에 만들자는 것입니다.
세계 시장의 고객들이 백색가전(White Goods)에 대한 운송이나 탄소 규제를 하려고 할 때 국제적으로 공인된 탄소 배출량도 자동으로 계산해 주고, 원산지 추적까지 모두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우리가 제공한다면, 우리 플랫폼을 사용할 것 아닙니까? 우리 기준을 만들면 우리 기준에 따를 것 아니에요? 그럼 어떻게 될까요? 그것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플랫폼 운용 인력 등 이 분야의 일자리가 엄청나게 창출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잘하는 또 다른 하나는 ‘Marine Ship-X’입니다.
고우성 : 조선요?
박한구 : 네, 선박. 우리나라가 또 조선이 최고잖아요. 자동차는 자율주행하기가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렇죠?
고우성 : 하하. 그렇죠.
박한구 : 수동으로 운전하는 사람, 자동으로 운전하는 사람, 교통표지판 등등 이런 것 때문에 변수가 많다는 거죠.
고우성 : 변수가 너무 많죠.
박한구 : 그런데 배는요? 변수가 기후 말고는 없습니다. 어느 시점에 ‘지금 태풍이 일어나니까 우리 쪽으로 올라오면 얼마나 걸릴 거다.’ 이런 것이 다 연결될 것입니다. 그다음으로 이제 통신이 중요한데, 통신이 되는 지역과 안되는 지역을 구분하여 서로 선박 간 통신하면서 자율주행이 되거든요.
그런 Marine Ship-X, 자율주행할 수 있는 선박을 플랫폼까지 올려놓게 되면 ‘통신’도 우리가 잡을 수 있고 선박의 기후 측정 관련한 분야 등 플랫폼을 우리가 잡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여기에 들어가는 물량이나 ‘언제 도착할 거 같다. 지금 무엇 때문에 언제 늦을 것이다’와 같은 실시간 추적도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역량으로 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많이 생기는 거지요.
고우성 : 네.
박한구 : 그것에 대한 컨트롤타워, 예를 들어 Marine Ship 컨트롤 타워가 울산에 있다면, 울산이 세계 시장 모든 선박의 콘트롤 타워가 되는 것입니다.
고우성 : 경쟁의 패러다임 자체가 이제 한 기업과 기업들 간의 싸움이 아니라, 누가 어떤 플랫폼에 속해 있느냐? 플랫폼을 누가 주도하느냐? 이제 그럼 싸움이 되겠네요.
박한구 : 그렇죠. 미래의 경쟁은 ‘플랫폼 레볼루션 경쟁’이 될 것입니다. 플랫폼 혁명이라는 거죠.
고우성 : 플랫폼 하면 사실 ‘페이스북, 구글’ 이런 것만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제조 인터스트리에서도 플랫폼 경쟁이 시작되는 거예요. 거기에 순환 경제가 들어가는 것이고요.
박한구 : 그렇죠.

 

글로벌 순환 경제 밸류체인(가치사슬)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기업과 정부는 서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일까요? ‘정부가 주도하면 99.9% 실패합니다’라는, 경험에서 우러나온 박한구 회장의 말씀이 지금도 생생하게 떠오릅니다.

 

4. 민간이 주도하는 밸류체인 플랫폼

박한구 : 정부 주도로 만들게 되면 효용성이 없습니다. 그냥 정부 자금을 한번 빼먹고 말아요.
고우성 : 그렇죠.
박한구 : 99.99% 실패합니다. ‘White Goods-X’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모여서 White Goods-X의 민간단체를 만들고, ‘Marine Ship-X’도 필요로 하는 기업이 모여서 Marine Ship-X를 리딩해야 합니다. 이때 여기에 모인 기업들 대부분은 대기업일 텐데, 대기업들이 서로 인력을 파견하고 자금을 지원하여 인프라를 만들 것입니다. 이 인프라는 만들 때 비용이 많이 드는데, 대기업 입장에서는 중소기업까지 이 인프라를 이용하는 용도라면, 정부도 자금을 지원하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정부도 자금을 지원해서 대기업이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중소기업에 무료로 배포하게 되면, 민간기업이 이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정책이 된다는 것입니다.

 


영상으로 시청하기!


박한구 명예회장의 다른 잇(IT)터뷰 글도 클릭해 보세요!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의 본질과 발전 단계 (박한구 명예회장/한국인더스트리4.0)

◼ 콘텐츠 & 웨비나 문의 : marketing@talkit.tv, 02-565-0012
Copyright ⓒ 토크아이티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