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 AI 아키텍처 A to Z (박준성 회장 / 한국SW기술진흥협회)

<잇(IT)터뷰 전체 영상 보기>

잇(IT)터뷰 전체 내용은 ▼아래 영상▼에서 확인해 주세요!
 

게스트 : 박준성 회장 / 한국SW기술진흥협회
진행자 : 고우성 PD / 토크아이티 (wsko@talkit.tv, https://talkit.tv/)

 

 

영상 목차

 

◼ 아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영상으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전사 AI아키텍처가 필요한 이유
비즈니스 전략 모델링
선진사례 벤치마킹
Quality Attributes 설정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ADD(Attribute Driven Design)

 

이번 잇(IT)터뷰는 전사 AI 아키텍처의 필요성과 구축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통찰을 제공합니다. 기업이 AI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경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사적 차원의 설계가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AI 도입 시 단기적인 성과를 명확히 설정하고, 비즈니스 스트래티지 모델링 도구(예: TOGAF)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선진 기업의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AI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 확장성, 성능, 정확성과 같은 품질 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설명합니다. AI 아키텍처 설계는 기업의 DX 가속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잇(IT)터뷰 – 핵심 내용 파악하기>

‘잇(IT)터뷰 – 핵심 내용 파악하기’는 영상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영상 내용을 정리된 글로 확인해 보세요!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페이지 상단의 영상이나 하단 영상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

 

 

1. 전사 AI 아키텍처의 필요성과 준비

 

– 기업은 전사 AI 아키텍처를 통해 AI가 회사 전체의 업무에 통합되고 조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도를 마련해야 한다.
– 전사 AI 아키텍처가 없으면 산발적인 AI 투자에 그칠 수 있고, 회사의 획기적인 발전에 기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 AI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기업의 경영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AI를 도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 AI를 활용한 모든 모델과 데이터를 사용해서 구체적인 성과를 예측하고,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전사 AI 아키텍처를 통해 30% 이상의 기업 수익 증가를 실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2. 비즈니스 아키텍처 모델링의 중요성과 도구

 

전사 AI 아키텍처가 필요한 이유

 

– 효과적인 투자를 위한 모델링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에 관한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 EA(Enterprise Architecture) 방법론은 선진 기업의 80%가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토가프(Togaf)를 추천한다.
– Archimate는 토가프에 기반한 모델링 언어로,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며,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벤치마킹을 통해 선진 기업들이 사용하는 IT 기술과 그 효과를 연구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같은 주요 은행들이 이미 이를 활용하고 있다.

 
 

3. 사례 연구 및 AI 애플리케이션 설계 요소

 

– 하버드 비즈니스 케이스를 통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구글에서 검색하면 관련 리포트를 찾을 수 있다.
– AI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는 비기능 목표와 품질 속성을 설정해야 하며, 초기 사용자 수와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 품질 목표의 설정은 품질 속성의 기준을 정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도와 성능 등이 포함된다.

 
 

4. AI 아키텍처 설계 과정의 시나리오

 
AI 아키텍처 설계
 

– 아키텍처 설계 시 패턴 선택 과정이 필요하며, 이후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 .
– 프로젝트 진행 시 예산과 인력의 한계를 고려하여 유연하게 우선 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
–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요구 조건은 명확히 설정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 디자인 방법론으로는 ADD(Attribute Design Driven)가 주로 사용되며, 이는 카네기 멜론 대학에서 개발한 기법이다.

 
 

5. AI 아키텍처 설계 과정과 디자인 패턴

 

– AI 솔루션의 여러 컴포넌트와 이들 간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아키텍처 뷰 설계도가 필요하다.
– 효과적인 아키텍처를 위해 결정 기록(Architecture Decision Records)을 작성하여 의사결정 과정을 문서화해야 한다.
–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고 디자인 패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베스트 솔루션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테크놀로지가 변화함에 따라 패턴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선택 가능한 솔루션의 대안들을 잘 갖추어야 한다.
– 설계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스테이크홀더들이 모여 설계를 다시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전체 잇(IT)터뷰 내용은 ▶영상으로 바로 가기(클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영상으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전사 AI아키텍처가 필요한 이유
비즈니스 전략 모델링
선진사례 벤치마킹
Quality Attributes 설정
프로젝트 우선순위 설정
ADD(Attribute Driven Design)

◼ 콘텐츠 & 웨비나 문의 : marketing@talkit.tv, 02-565-0012
Copyright ⓒ 토크아이티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