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로 구현하는 AI 풀스택 인프라 구축 방법 (오세진 대표 / (주)텐)

<잇(IT)터뷰 전체 영상 보기>

잇(IT)터뷰 전체 내용은 ▼아래 영상▼에서 확인해 주세요!
 

게스트 : 오세진 대표 / (주)텐
진행자 : 고우성 PD / 토크아이티 (wsko@talkit.tv, https://talkit.tv/)

 

 

영상 목차

 

◼ 아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영상으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기반 AI 풀스택 패키지
쿠버네티스 사용자, 자원 통합 관리

 


<잇(IT)터뷰 – 핵심 내용 파악하기>

‘잇(IT)터뷰 – 핵심 내용 파악하기’는 영상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영상 내용을 정리된 글로 확인해 보세요!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페이지 상단의 영상이나 하단 영상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

 

이번 잇(IT)터뷰는 AI 특화된 쿠버네티스 플랫폼의 구현과 운영에 대한 실무적 접근을 다룹니다. GPU 자원까지 포함된 AI 인프라를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일반적인 IT 인프라 쿠버네티스 플랫폼과 달리 GPU 컴퓨팅까지 통합 지원하는 AI 전용 풀스택 솔루션의 특징을 설명합니다. 컨테이너 기반 AI 서비스 배포부터 권한 관리, 모니터링까지 체계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합니다.

 
 

1. 쿠버네티스 기반 AI 풀스택 패키지

 

AI 서비스들이 컨테이너 기반으로 배포되면서 AI 인프라도 쿠버네티스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기존 IT 인프라와 달리 AI 환경에서는 GPU 자원 통합 관리가 필수적이다.
주식회사 텐은 모델 개발보다 인프라 구성과 운영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용자 목적에 맞는 인프라 구성부터 컨테이너 기반 오케스트레이션까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전체 스택을 지원한다. 특히 비용이 높은 GPU를 컨테이너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쿠버네티스 생태계의 다양한 도구들을 통합하여 1-2일 내 설치 가능한 제품화된 패키지로 제공한다.

 
쿠버네티스 기반 AI 풀스택 패키지
 
 

2. AI 인프라 구축의 복잡성과 해결책

 

기업이 직접 AI 인프라를 구축할 때 마주치는 현실적 어려움은 상당하다. 쿠버네티스 전문 엔지니어 채용부터 시작하여 사용자 인증, 모니터링 도구 연동, 깃 연동 등 복잡한 시스템 통합이 필요하다.이러한 구축 과정은 6개월 이상 소요되며, 구축 후에도 빠른 업데이트 주기에 따른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업들은 Go-to-Market 상황에서 장기간 인프라 구축만 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이 있다. 텐에서는 고객사에서 검증된 스택들을 통합 패키지로 제공하여 복잡한 구축 과정을 생략하고 즉시 AI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3. 쿠버네티스 사용자, 자원 통합 관리

 

일반적으로 엔지니어 수 제약으로 쿠버네티스 어드민 계정을 공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보안상 바람직하지 않고 관리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텐의 솔루션은 계정별 세분화된 접근 권한을 제공하여 각 엔지니어의 컨테이너를 통합 화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폼 형태, YAML 에디터, CLI 등 다양한 방식을 지원하며, 개발자가 CLI에서 생성한 컨테이너도 자동으로 UI에 반영되어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인프라 확장과 사용자 증가에도 체계적이고 안전한 관리를 보장한다.

 
쿠버네티스 사용자, 자원 통합 관리
 
 
 

4. 프로젝트별 권한 관리 시스템

 

대규모 AI 인프라에서는 권한 관리가 핵심 요소다. 자원에 대한 무분별한 접근은 보안 문제와 시스템 안정성을 위협한다.
텐은 클러스터 어드민 하위에 프로젝트(팀) 단위로 계층적 권한 구조를 구현했다. 컨테이너 기반 AI 개발에서 중요한 세 가지 자산에 대한 접근을 통제한다: 코드와 데이터가 포함된 이미지는 팀별 격리된 허브로 관리하고, 서버는 그룹별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스토리지도 팀별로 격리한다. 이를 통해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5. AI 특화 모니터링과 최적화

 

AI 워크로드는 일반적인 CPU 기반 모니터링으로 충분하지 않다. GPU 최적화를 위해서는 하드웨어 레벨의 세부 지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단순한 GPU 유틸리제이션을 넘어 GPU 메모리 사용률, 캐시 밴드위스, PCIe 밴드위스, 네트워크 밴드위스 등 병목 지점을 식별할 수 있는 지표들을 제공한다.
텐서코어 유틸리제이션, 메모리 읽기/쓰기 유틸리제이션 등 실제 AI 개발 경험과 R&D를 통해 도출된 최적화 지표들이 제품에 반영되어, 개발자가 복잡한 하드웨어 분석 없이 효율적인 AI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6. 운영 효율성과 의사결정 지원

 

효율적인 AI 인프라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로그 관리와 사용량 분석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방식의 직접 노드 접속과 수동 로그 조회는 번거롭고 보안상 바람직하지 않다.
텐은 모든 로그를 엘라스틱서치에 수집하여 통합 UI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별도 시스템 계정 없이 권한 범위 내에서 필요한 데이터에 접근한다. 월간 사용량 리포트를 통해 팀별 GPU 사용률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인프라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AI 인프라의 ROI를 극대화한다.

 

◼ 전체 잇(IT)터뷰 내용은 ▶영상으로 바로 가기(클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영상으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기반 AI 풀스택 패키지
쿠버네티스 사용자, 자원 통합 관리

◼ 콘텐츠 & 웨비나 문의 : marketing@talkit.tv, 02-565-0012
Copyright ⓒ 토크아이티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